뜻(5)
-
MCP (Model Context Protocol) 뜻, 설명, 만드는 방법, 파이썬 코드 실행, Claude for Desktop 설치
MCP(Model Context Protocol)란?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과 외부 데이터 소스 또는 도구를 연결하기 위한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실시간으로 외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결과를 생성하게 해줍니다. MCP는 AI 기술의 확장성과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연결 브릿지 역할을 합니다. MCP 설명, 뜻 (Model Context Protocol의 의미)Model: AI 언어 모델 또는 대화형 모델Context: 모델이 이해하고 응답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Protocol: 통신을 위한 규약즉, MCP는 모델이 외부 컨텍스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신 규약입니다. 이로 인해 ..
2025.03.31 -
바이브 코딩이란? 뜻, 설명, 특징, 미래 전망, Vibe Coding 장단점, 추천 플랫폼
바이브 코딩이란? 뜻, 설명, 특징, 미래 전망, Vibe Coding 장단점, 추천 플랫폼 바이브 코딩이란 무엇일까요? "바이브 코딩이란, 뜻, 설명, 특징, 미래 전망, Vibe Coding 장단점, 추천 플랫폼"이라는 키워드로 이 글을 시작해 봅니다. 바이브 코딩이란 최신 인공지능 기술과 자연어 처리를 활용해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수정하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바이브 코딩이란" 키워드를 이해하려면, 기존 프로그래밍 방식과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이브 코딩이란, 뜻, 설명바이브 코딩이란 간단히 말해 개발자가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 자연어로 문제를 설명하면 인공지능(AI)이 대신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즉, "바이브 코딩이란" 것은 개발자와 AI의 협업..
2025.03.26 -
로그 수집 분석과 처리 도구 fluentd와 fluent bit 설명, 뜻, 차이점, 장점, 설치 과정 설정 방법, 분산 로깅 시스템
fluentd와 fluent bit 설명, 뜻, 차이점, 장점, 설치 과정 설정 방법 fluentd와 fluent bit 설명, 뜻Fluentd와 Fluent Bit는 모두 오픈 소스 로그 수집기이자 프로세서로, 다양한 소스에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 집중식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 도구 모두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CNCF)에서 관리하며, 로그 데이터의 효율적인 수집과 처리를 목표로 합니다. Fluentd와 Fluent Bit의 차이점개발 언어C와 RubyC메모리 사용량약 40MB약 650KB성능고성능고성능의존성일부 Gem 패키지 필요의존성 없음플러그인 수1000개 이상약 70개사용 사례서버 및 컨테이너 환경임베디드 리눅스, 컨테이너, ..
2023.11.25 -
ORM 뜻, 설명, 장단점
ORM 뜻, 설명, 장단점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 객체 지향적 구조 - 모든 데이터는 객체이며, 각 객체는 독립된 데이터와 독립된 함수를 지님 SQL 구조 - 데이터는 테이블 단위로 관리되며 객체들을 조회하기 위한 명령어를 사용 ORM - 각 테이블 또는 구분하고자 하는 데이터 단위로 객체를 구현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형성 예시 -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연결)해주는 Framework Flask ORM - SQLAlchemy SQLAlchemy를 통해 db라는 변수를 생성하였고, db.Model을 상속받아 User 클래스를 생성 User=> id(자동 생성, primary key), username(String), email(String)..
2023.03.28 -
블록체인 기초 용어 정리: 레이어(Layer) L0, L1, L2, L3, POS POW, DAO 뜻
블록체인 기초 용어: 레이어(Layer) L0, L1, L2, L3, POS POW, DAO 뜻 블록체인 레이어(Layer) L0, L1, L2, L3 뜻 L0: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채굴하는 계층 L1: 트랜잭션을 완료, 플랫폼, 윗단의 연결을 구성해주기 위한 인프라 제공하는 계층 L2: L1의 트랜잭션을 확장, 빠른 연산, 신뢰성 등을 도움 L3: 어플리케이션 계층, DAPP POS POW 뜻 POW (Proof of Work) : 작업 증명, 해시 연산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친구에게 지급 -> 비트코인 https://bitcoin.org/bitcoin.pdf POS (Proof of Stake) :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 비례하여 블록 생성 권한 부여 DAO 뜻 DAO (Decentralized Au..
2022.08.28